반응형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중 하나인 열전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분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으로 폐회로를 만들어 양쪽의 온도를 달리해 주면 회로 내에 기전력이 발생하는 제백(Seebeck)효과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즉, 기준온도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온도를 알 수 있습니다.
열전대는 다음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 집니다.


열전대의 장점은 비교적 짧은 지연 시간, 즉 온도 변화에 매우 빠르게 반응합니다. 또한 열전대는 기계적으로 매우 견고하며 유형에 따라 -250 ° C ~ +2000 ° C의 온도 범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 열전대와이어의 접촉점에서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것 이기 때문에 점접촉만으로도 측정이 가능하기에 공간 절약형 설계로 인해 열전대는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쉽게 도달 할 수 있습니다.
열전대는 중간 부분의 온도변화는 두 접점 사이의 기전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기준 금속에 대한 어떤 두 금속의 기전력이 각각 리스트화 되어있다면 그 두 금속으로 이루어진
회로의 기전력은 그들의 기준 금속에 대한 기전력의 차이와 같습니다.
이러한 기전력의 차이를 측정하는 장비는 요코가와 사의 MX100이 있습니다.

MX100은 데이터 로깅 요구 사항에 대해 4채널에서 1200채널까지 대응 가능합니다.
이러한 장비와 컴퓨터의 연결을 통해 정확한 온도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기계공학(Mechanical Engineering) > 열전달(Heat Transf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정식 수치해법 [엑셀 연립방정식풀이 Gauss seidel feat 열전도방정식] (0) | 2022.10.23 |
---|---|
열전달 계산 Mathlab 프로그래밍(feat.Gauss seidel) (0) | 2022.10.23 |
fin 휜 설계 열전달[Heat transport] #4 fin 설계(Fin온도,열전도율,효율,유효도) (0) | 2022.10.23 |
손잡이 열전달율 및 중앙온도 문제[열전달] (0) | 2022.10.23 |
fin 휜 설계 열전달[Heat transport] #3 대류열전달(Convection)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