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의 열생성이 없는 정상상태의 1차원 열전도식의 결론에서 열저항의 개념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 식에서 R=L/KA이고
이러한 열저항 system을 이용하는 이유는 계산의 양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아래의 상황에서 열저항은 우리가 옴의 법칙 처럼 사용하여 열전달율(Heat transfer rate)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직렬 = R_tot = R1+R2+R3+......
병렬 = R_tot = (R1^-1 + R2^-1 + R3^-1......)^-1
이러한 열저항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다른 물성치를 가진 복합벽의 경우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열전달율 q[w]는 변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에너지는 보존되기 때문에 각지점에 따라 k값에 의해 온도는 달라질 수 있으나
steady state이기 때문에 시간은 고려되지 않아 열전도율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러한 조건을 이용하여 문제를 많이 풀기 때문에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열저항시스템을 통해 열전도율 q[w]를 구하는 법은 직렬과 병렬의 전체 열저항을 계산한 후 양끝의 온도 T1,T6만을 이용하여 q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건축에서 단열을 위해 많이 계산하고 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지금까지 유도방식을 바탕으로 cylinderical coordinate spherical coordinate의 좌표계로 계산했을 때의 결과값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h는 대류열전달계수로 다음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기계공학(Mechanical Engineering) > 열전달(Heat Transf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 열전달 문제 풀이 #14 (0) | 2022.10.29 |
---|---|
fin 휜 설계 열전달[Heat transport]#1전도 Conduction (1) | 2022.10.23 |
대류열전달 문제해결법 [상사성 similarity] (1) | 2022.10.23 |
방정식 수치해법 [엑셀 연립방정식풀이 Gauss seidel feat 열전도방정식] (0) | 2022.10.23 |
열전달 계산 Mathlab 프로그래밍(feat.Gauss seidel) (0) | 2022.10.23 |